적하목록 화물관리번호 까르네 간이면장 신고 정리(포워더,화주)

반응형

적하목록(Manifest, M/F)

1. 정의

적하목록은 선박 또는 항공기에 적재된 화물의 총괄목록이다. 선사, 항공사, 포워더가 작성하여 제출한 B/L일련번호에 의하여 화물관리번호가 B/L한건에 대하여 하나씩 자동으로 부여 되며 화물관리번호는 사람에게 있어서 주민등록번호와도 같은 것으로 세관의 수입화물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료다. 적하목록은 선사, 항공사, 포워더가 작성하며 적하목록을 틀리게 작성한 경우에는 적하목록을 수정하거나 정정할 수 있다. 수출화물적하목록 작성의무자는 Master B/L 일 경우 선사 또는 항공사가 작성하며, House B/L 일 경우 포워더(화물운송 주선업자)가 작성한다. 이때 자체 전산 시스템이 없는 포워더일 경우 입력대행사무소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. 수출화물 적하목록은 선사 또는 항공사가 자신이 작성한 Master B/L과 포워더가 작성한 House B/L을 취합하여 출항익일까지 세관에 전자문서로 제출해야 한다.

[네이버 지식백과] 적하목록 [Manifest] (무역용어사전)

2. 화물관리번호 체계

화물관리번호 체계 : MRN + MSN + HSN

- MRN(Manifest Reference) : 적하목록 관리번호
  * MRN 구성 : 제출연도 2자리 + 선사/항공사부호 4자리 + 일련번호 + 입항(I)/출항(E)
- MSN(Master BL Sequence No.) : 마스터비엘 일련번호
- HSN(House BL Sequence No.) : 하우스비엘 일련번호

신고관련

1. 적하목록 신고시 하우스 비엘넘버 구성

  • 수입/수출 : 영문+숫자만 가능함. -(하이픈)과 같은 특수문자는 허용되지 않음.
  • MSN은 한 포워더/화주에서만 사용 가능함

 

2. 수출 적하목록 삭제 정정신고 관련

  • 승인 이후 마스터(선사)에서 적하 정정삭제신고를하면 제출통보 들어올때 하우스(포워더/화주)의 적하도 삭제됨
Q1. 포워더인데 적하목록 신고시 선사부호를 잘못입력해서 전송했어요. 취합하는데 문제없을까요?
A. 운항선사에서 수입/수출건 취합시 MRN/MSN(수입)/MASTER BL(수출)만 맞으면 정상적으로 취합 및 제출이 됨으로 포워더에서 선사부호 잘못입력해도 적하목록 제출하는데 문제되지 않음.

Q2. B/L TYPE이 E(Empty)이고 IN BULK인데 중,수량을 기재해도 B/L 접수가 될까요?
A. 관세청에서 사전검증시 B/L TYPE이 E면 중수량검증을 안하기때문에 중수량 입력해서 보내도 비엘 접수 됨.

면장신고 관련

1. 까르네(ATA CARNET)

개요

  상품견본, 직업용구, 전시물품과 같이 일시적인 통관이 발생하는 물품에 대해 통관에 필요한 각종 서류 및 담보금을 대신하는 문서

  ATA까르네 협약 가입국 간에는 수출입 전에 자국에서 이 증서를 발급 받으면 복잡한 통관서류를 작성하거나 세금·담보금 등을 납부할 필요 없이 이 증서만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통관이 가능함

 

용도

ㅇ 상품견본(Commercial Samples), 직업용구(Professional Equipments), 전시회(Fairs/Exhibitions)의 용도로 물품을 해외에서 사용 후, 본국으로 다시 가져올 물건에 대해서만 사용할 수 있음

ㅇ 농산물, 식료품, 위험물품, 소모품 등 부패의 우려가 있거나 1회용품 또는 수입국이 수입을 금지하고 있는 물품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음

 

2. 까르네 재수출 신고

재수출일 경우 체계번호 구성 : 세관부호3자리+과부호2자리+업무구분 재수출:R+연도4자리+일련번호 5자리=총 15자리

3. 간이면장 신고

  • 면장번호만 NCV로 기재
  • 중량과 갯수 등 기재 후 신고해야 함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