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/L(Bill of Lading)선하증권이란?/Bill of Lading 양식설명/선화증권 양식

반응형

<관련 글>
B/L 종류
선적 & 무역서류관련 용어 정리

B/L(BILL OF LADING,선하증권) 양식 이해하기

  1. Carrier : 운송 주체자, 선박회사 명
  2. Multimodal Transport or Port to Port Shipment(=Combined Transport) : 복합운송 B/L
  3. Shipper : 수출자 * House B/L이 존재할 경우 Master B/L상의 Shipper는 포워더
  4. Consignee : 실화주
  5. Notify : 통지처 *실화주가 될수도 있고 핸드링하는 업체/포워더가 될 수 있음
  6. Carrier's Reference : 보통 선사와 계약 맺어져있는 S/C No. 가 기재 (S/C : Serveice Contract/운송계약)
  7. B/L NO: 선사에서 부여하는 B/L NO.
  8. Forwarding Agent : 보통 수입국에 Forwarding Agent가 있으면 그 정보를 기재
  9. Place of Receipt : 물건 받는 장소
  10. Place of Delivery : 물건 도착하는 장소
  11. Vessel : 모선명
  12. Voyage No. : 모선의 항차
  13. Port of Loading : 선적항
  14. Port of Discharge : 도착항
  15. Container no/Seal no : 컨테이너와 실넘버 기재
  16. Marks and Nos : 상자외부에 표기되는 쉬핑마크(Shipping Marks) * 수입 LCL의 경우 보통 이 쉬핑마크를 통해 분류작업을 진행하게 된다.
  17. Number and Kind of Packages : 물품 수량 / Description of Goods : 품목, 증서번호 등 기재
* Description of Goods에 표기되는 'Said to Contain', 'Shipper's Load Count' 는?
- 부지약관으로써, 컨테이너 선적의 경우에 송하인이 컨테이너에 적입할 때(Shipper's Pack) 선박회사는 자신들이 입회하여 확인하지 않으므로 내용물에 대해서는 책임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표기.
- 부두수취증(Dock Receipt)에 기재하고 또한 선하증권면에도 동일 취지의 문언을 부기한다.
- 재래선에서 산적화물을 적재하는 경우에는 'Said to be'가 기재된다.
- Unknown Clause 라고도 한다.
출처 : [네이버 지식백과] 부지약관 [Said to Contain] (지식경제용어사전, 2010. 11., 산업통상자원부)


18. Gross Weight : 총 중량
19. Measurement : 컨테이너 CBM 표기
20. Shipped On Board : 선적일자 (=On Board Date) * L/C건일경우, L/C와 일치가 되어야함.
21. Freight Prepaid : 선적지에서 운임 선지불(↔ Freight Collect)
22. Total No of Containers received by the Carrier : 선적하는 컨테이너 갯수
23. Movement : 선적지/도착지의 작업 Yard 표기 *예)CY/CY, CFS/CFS, CFS/CY
24. 운임 표기
25. Freight payable at : 운임 지불 주체/Prepaid일 경우 'Origin', Collect일 경우 'Destination'
26. Number of original B/L : 총 B/L 발행 장수

반응형